'ads.txt' google.com, jungnamdomail.com-8575911856085751, DIRECT, f08c47fec0942fa0 css적용 문제 ads.txt' google.com, DIRECT, f08c47fec0942fa0
Hello css!

.comment-form .submit button:hover, .comment-form .submit button:focus { background-color: #04beb8 }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주휴수당, 주 5일 근무자는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신 기준)

by 글리코겐 2025. 10. 10.
반응형

 

직장인,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모두에게 중요한 ‘주휴수당’.이번 글에서는 주 5일 근무 기준 주휴수당 계산법, 지급 조건, 예시 표까지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 주 5일 근무자는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최신 기준)

 

🕒 1.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5조 근거)

‘주휴수당(週休手當)’은 한 주 동안 정해진 근무일을 빠짐없이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하루를 쉬게 하면서 지급되는 임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열심히 일했으니 하루는 쉬어도 급여는 지급해줄게요.”
라는 개념입니다.

즉, 일주일 개근 시 1일치 임금이 추가로 주어지는 제도입니다.
주휴일은 보통 일요일로 지정되지만, 사업장 사정에 따라
토요일, 월요일 등 다른 요일로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 2.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

주휴수당은 모든 근로자가 무조건 받는 것이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상 아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구분 기준 내용
✅ 근로시간 요건 1주 15시간 이상 근로해야 함
✅ 개근 요건 정해진 근무일 모두 출근해야 함

예를 들어, 주 5일(월~금) 하루 8시간씩 근무한다면
→ 주 40시간이므로 당연히 주휴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하지만 주 5일이라도 하루 2~3시간만 일한다면
→ 주 15시간 미만이면 주휴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 3. 주 5일 근무자의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휴수당 = (주 소정근로시간 ÷ 주 근무일수) × 통상시급

즉, 1주일 동안 일한 총 근로시간을 근무일수로 나눈 후,
그 값을 시급으로 곱하면 됩니다.

✅ 예시 ① 정규직 (주 40시간 근무)

근로시간: 8시간 × 5일 = 40시간

시급: 10,000원 가정

주휴수당 = (40 ÷ 5) × 10,000 = 80,000원

👉 주급 기준 총 48시간분 급여 지급
(실근로 40시간 + 주휴수당 8시간)

✅ 예시 ② 파트타임 (하루 4시간, 주 5일)

근로시간: 4시간 × 5일 = 20시간

시급: 10,000원

주휴수당 = (20 ÷ 5) × 10,000 = 40,000원

👉 주급 총 24시간분 급여
(20시간 근로 + 4시간 유급휴일)

✅ 예시 ③ 시급제 아르바이트 (주 3~5일 근무)

하루 5시간, 주 5일 = 25시간

주휴수당 = (25 ÷ 5) × 시급

주 15시간 이상이므로 지급 가능

※ 단, 결근·지각 등으로 개근이 깨지면 주휴수당 미지급될 수 있습니다.

📊 4. 시급별 주휴수당 계산표 (2025년 기준 최저임금 반영)
시급 1일 4시간 근무 1일 6시간 근무 1일 8시간 근무
9,860원 (2025년 최저임금) 39,440원 59,160원 78,880원
10,000원 40,000원 60,000원 80,000원
12,000원 48,000원 72,000원 96,000원

💬 즉,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시
→ 최저임금 기준 주휴수당은 약 78,880원이 됩니다.

⚠️ 5.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 주의하기

알바 공고나 계약서에 “시급 12,000원 (주휴수당 포함)” 이라고 적혀 있다면,
이는 실제 시급이 12,000원이 아니라
주휴수당이 포함된 총액 시급일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일 때 주휴수당 20%가 추가되면
👉 10,000 × 1.2 = 12,000원
이렇게 표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근로계약서 작성 시 반드시
“주휴수당 별도 지급인지, 포함 시급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6. 주휴수당은 언제, 어떻게 지급되나?

보통 월급일 또는 주급 지급 시 함께 지급됩니다.
별도의 날짜가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급여 명세서에 주휴수당이 따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 주의: 일부 사업장은 급여 명세서에 주휴수당을 빼놓고 지급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근로자는 근로계약서와 출근기록을 근거로 지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7. 주휴수당을 못 받았을 때 대처 방법

근로계약서 및 출근기록 확보

사업주에게 정식 요청 (문자·이메일로 남기기)

지급 거부 시 →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진정’ 접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 없이 1350)
또는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고도 가능합니다.

✅ 8.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적용 대상 주 15시간 이상 + 개근 근로자
근무형태 정규직·알바·단시간 근로자 모두 포함
지급기준 1일 유급휴일 (보통 일요일)
계산식 (주 근로시간 ÷ 근무일수) × 시급
주 5일 근무자 하루치 급여 추가 지급 (약 시급×8시간)
🧭 9. 마무리 – 주휴수당, 나의 권리이자 당연한 급여

주휴수당은 “보너스”가 아니라 법으로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주 5일 근무자는 주휴수당을 꼭 확인해야 하며,
근로계약 시 “포함 여부”를 명확히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아르바이트나 단시간 근로자도
주 15시간 이상, 개근 조건만 충족하면 반드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은 내 월급의 20% 이상을 차지하기도 하므로,
놓치지 말고 급여 명세서에서 꼭 확인하세요.